Surprise Me!

[아는기자]출국 직전 취소 통보…트럼프식 한국 길들이기?

2025-07-24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경제산업부 우현기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우 기자, 오늘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출국 직전에 2+2 통상협의 취소 통보를 받았는데, 이거 외교적 결례 아닙니까?<br> <br>네 일단 오늘 오전 상황을 다시 정리해보면요. <br><br>구윤철 경제부총리의 출국 예정 시간은 오전 10시 25분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미국에서 회동을 취소하겠다며 기재부에 이메일을 보낸 시각, 오전 9시였습니다. <br> <br>불과 1시간 25분전에 연기 통보를 한거죠. <br> <br>구 부총리를 기다리던 취재진도 9시 반쯤에서야 이 사실을 알고 허탕을 쳤고요.<br><br>장관의 긴급 일정이라면서도 전화도 없이 출국 1시간 25분 전에 이메일만 달랑 보낸 것은 개인적인 관계에서도 선뜻 이해하기 힘든 태도입니다.<br><br>Q2. 정부에서는 미국 일방적 취소에 대해서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어요?<br> <br>일단 정부는 미국 측의 속내 파악에 나서면서도, 협의 연기이지 취소는 아니라고 설명합니다. <br><br>정부 관계자는 "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 있어 연기된 걸로 보인다"고 전했는데요. <br> <br>한 마디로 한미 관세 협상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겁니다.<br><br>특히 미국 측이 취소 통보 메일을 보내면서, 여러차례 사과했고, 조속한 시일 내에 일정을 다시 잡자고 한 부분을 주목하고 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김정관 산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협상 일정은 그대로 진행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Q3. 정부에서는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는 건데요. 하지만 오늘 귀국한 위성락 안보실장도 뚜렷한 성과는 없어 보입니다. 이거 진짜 괜찮은 게 맞는 겁니까?<br><br>위성락 국가안보실장, 나흘간의 방미 기간 동안,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결국 만나지 못하고 귀국했습니다. <br><br>다만 대통령실은 유선으로 충분히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는데요.<br><br>사실 위 실장은 이른바 '패키지딜'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거였는데요. <br><br>패키지딜이란 단순 관세협상 뿐만 아니라, 농수산물 개방이나, 국방비 증액 등 통상과 안보를 망라한 협상을 말합니다.<br> <br>하지만 대통령실이 구체적인 성과에 대해선 말을 아낀 걸 보면 패키지딜에 큰 진전이 없었다고 봐야할 거 같습니다. <br><br>Q4. 일각에서는 일련의 조치들이 한국을 길들이려는 미국 측의 전략이란 해석도 나온다면서요?<br><br>제가 직접 전문가들에게 물어봤는데요. <br> <br>전형적인 트럼프식 협상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조금 전 리포트에서 보셨듯, 미국은 비관세 장벽 수용을 압박하면서, 소고기보다는 쌀 시장 개방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죠.<br><br>또 이번에 일본은 5500억 달러, 약 757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는데, 한국은 그 절반에 못미치는 1천억 달러의 현지 투자계획으로 알려졌고요.<br><br>실무 협상 단계에서 미국이 원하는 카드를 한국이 가져오지 않으니, 회동을 깨면서 압박을 가한다는거죠. <br><br>한 전문가는 "일본도 협상이 타결됐고, 유럽도 협상이 임박한 상황"이라며 "다급해지는 한국에 비해 높은 협상력을 가지고 판 흔들기에 나선 것"이라고 이라고 분석하더라고요.<br><br>일각에선 베선트 장관이 25~29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순방을 따라간다거나, 아니면 28~29일 스웨덴 스톡홀롬서 대중 협상에 집중하기 위해서 취소했다는 해석도 나오는데요.<br> <br>실제 다음 협상 날짜가 어떻게 지정될지, 더 지켜봐야 될 거 같습니다. 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